본문 바로가기

일상 정보

춘분 뜻 날짜 풍습 음식 속담 총정리

반응형

춘분은 우리나라 24절기 중 경칩과 청명 사이에 있는 네 번째 절기로 춘분이 지나면 완연한 봄이 다가오고 있구나라고 느끼실 수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이 춘분의 뜻과 관련된 속담, 풍습, 음식 등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춘분 (春分) 뜻

춘분-뜻
춘분 뜻

춘분은 우리나라 24절기 중 네 번째 절기로 태양의 황경이 0도가 되는 날을 말하며 양력 기준으로는 3월 20일 혹은 21일 무렵쯤인데 올해 2023년 춘분의 날짜는 3월 21일입니다.

 

춘분의 한자어를 풀어서 설명하면 봄 춘(春) 나눌 분(分)으로 봄을 나눈다라고 할 수 있는데 말 그대로 춘분은 밤과 낮의 길이가 12시간씩 같아지는 날로 춘분이 지나면 밤보다 낮의 길이가 길어지는데 최근 날씨를 보면 아침해가 뜨는 시간이 점차 빨라지는 것을 체감할 수 있고 해가 빨리 뜨기 때문에 날씨도 점차 따뜻해지는 것도 느낄 수 있습니다. 

풍습

춘분-풍습
춘분 풍습

첫 번째: 춘분은 날씨가 따뜻해지는 기준이 되는 날이기 때문에 조상들은 춘분날로부터 한 해 농사를 시작하였습니다. 그래서 본격적인 농사를 준비하기 위해서 밭도 갈고(춘경) 담을 고치며 봄에 뿌려 여름에 수확하는 봄보리도 뿌렸으며 계절에 맞는 들나물을 캐 먹기도 하였습니다.

 

두 번째: 춘분 날씨를 기준으로 구름점을 보고 그 해 농사에 풍 흉년을 점쳤는데 특이하게 구름이 없이 맑은 날은 흉년이라고 여기고 구름이 끼는 날씨면 보리가 풍년인 해, 비가 오면 병이 안 들어 풍년이라고 여겼다고 합니다.

 

세 번째: 새 해가 되면 떡국을 먹는 것처럼 춘분이 되면 송편과 비슷한 나이떡을 빚어 자기의 나이만큼 크기의 나이떡을 먹었는데 농사를 시작하는 시기인 만큼 농사짓는 머슴들을 불러 이 떡을 나누어먹으면서 농사가 잘되길 빌었기도 했기에 머슴떡을 먹는다고도 하였습니다.

 

네 번째: 냉장고가 없던 과거에는 얼음이 매우 귀했는데 그래서 다음 겨울이 오기 전까지 얼음을 잘 보관하기 위해서 사한제라는 제사를 지냈습니다. 사한제는 사한단에서 추위와 북방의 신인 현명씨에게 지내는 제사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먹는 음식

춘분에 먹는 음식
춘분에 먹는 음식

조상들로부터 볶은 콩을 먹으면 농작물을 훔쳐먹는 쥐와 새들이 없어지고 농사에 해로운 벌레들이 없다진다고 믿었기 때문에 볶은 콩을 먹었다고 합니다.

 

춘분은 봄의 계절이기 때문에 봄에 많이 나고 영양소가 가득한 쑥, 냉이, 달래 등을 먹었다고 하는데 춘분이어서 먹었다기보다는 봄이 다가와서 계절 나물들을 먹다 보니 이런 얘기가 생긴 것으로 생각됩니다.

속담

춘분-속담
춘분 관련 속담

춘분에 관련된 속담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오늘은 3가지 속담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덥고 추운 것도 추분과 춘분까지다." : 24절기 중 더위에서 추워지거나 추위에서 더워지거나 하는 절기가 추분과 춘분이라는 뜻으로 춘분이 지나면 낮의 길이가 길어지기 때문에 추운 날씨가 풀린다는 뜻입니다.
  • "춘분날 밭을 갈지 않으면 일 년 내내 배부르지 못하다." : 춘분은 농사의 시작을 준비하는 춘경의 시기이기 때문에 이 시기에 이때에 농사 준비를 제대로 하지 않으면 농사가 제대로 되지 않아 풍족하게 지낼 수 없다는 뜻입니다.
  • "삼월 바람에 설 늙은이 얼어 죽는다." : 삼월 바람이 실제로 차갑다는 뜻이 아니라 따뜻한 3월 바람에도 추위를 타는 사람들에게 놀리는 속담이라고 합니다.